공정선거감시운동(1987. 11.∼12.)

국민운동본부는 11월 말부터 대통령 선거에 조직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각종 기구, 지역, 대학별로 ‘공정선거감시단’을 발족시켰다.

6월민주항쟁은 ‘6·29선언’을 기점으로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었다. 이제 대통령 직선제 등을 포함한 개헌과 대통령선거법 개정은 번복할 수 없는 국가적 과제가 되었다. 여당은 개정한 법률들에 의거하여 노태우 민정당 대통령 후보를 당선시키기 위해 전략과 전술을 재편했다. 야당과 재야 세력에서도 유력한 대통령 후보자들을 구심으로 합종연횡하며 분주하게 움직였다. 87노동자대투쟁이 전개되고 있었으나, 대통령 선거에 대한 정치·사회적 관심이 점점 더 커져갔다.

시민들은 대통령 선거가 진정 공정하게 치러질 것인가를 의심했다. 대통령 선거의 공정성에 대한 불신은 해방 이후 실시되었던 무수한 선거들에서 반복되었던 경험들을 바탕에 두고 있었다. 그래서 국민운동본부는 8월 4일 개최한 제1회 전국 총회에서 세 가지 실천 과제들의 하나로 ‘깨끗한 선거, 선거감시운동’을 제안했다. 현 체제에서의 ‘선거혁명론’을 비판하는 주장들도 있었으나, 개헌과 대통령 선거를 중단시킬 만큼 호응을 얻지는 못했다. 9월 말에 들어서는 전국을 순회하는 선거운동이 본격화되었다. 국민운동본부는 10월에 들어 거국중립내각 수립과 선거감시운동을 주요 주장으로 내세웠고, 야당후보 단일화는 점점 멀어지고 있었다. 6월민주항쟁에도 불구하고 공안당국의 기세는 여전했으며, 신문과 방송은 야당의 선거운동과 재야 및 학생운동을 폭력적이라고 평가했다.

국민운동본부는 11월 말부터 대통령 선거에 조직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각종 기구, 지역, 대학별로 ‘공정선거감시단’을 발족시켰다. 민주정의당은 공정선거감시단을 폭력적인 선거운동이라고 비난했으며, 당국은 각종 이유를 들어 탄압했다. 공정선거감시단 활동의 정점은 12월 16일 선거 날이었다. 공정선거감시단은 전국의 투표소에 배치되었는데, 이러한 활동 과정에서 서울시 구로구청 부정 투표함에 항의하는 점거농성이 발생했다. 이때 봉인되었던 투표함은 2016년 7월 21일 개봉되었고, 10월 23일 최종 조사결과가 발표되었다.

아카이브에서 보기